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남, 충청, 전라, 경제 체감이 이렇게나 다르다고요?

by 하루치행복 2025. 4. 8.

대한민국 경제는 전국 어디나 동일하게 움직이지 않습니다. 같은 나라에 살아도 지역에 따라 체감하는 경제 상황은 다르게 느껴지죠. 특히 경남, 충청, 전라 지역은 산업 구조와 인구 구성, 일자리 상황 등이 서로 달라 경제 체감도가 크게 갈리는 지역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지역을 중심으로 실제 주민들이 느끼는 경제 현실을 비교해보고, 어떤 요인이 지역별 체감 격차를 만드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제조업 기계조립

🚞경남: 조선업 회복에도 경제는 왜 안풀릴까?

경상남도는 오래전부터 중공업과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조선, 기계, 항공 등 전통적인 산업이 지역 경제를 이끌어왔죠. 그러나 조선업 불황과 글로벌 경기 침체의 여파로, 경남 지역 경제는 긴 시간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특히 거제, 통영, 창원 등은 조선업 위축의 직격탄을 맞으며 청년 실업률이 높아지고, 지역 상권도 함께 위축됐습니다. 최근 조선업의 회복 조짐과 정부의 지역 산업 육성 정책으로 어느 정도 반등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지만, 주민들이 느끼는 경제 체감도는 여전히 부정적인 편입니다. "언론에선 좋아졌다고 하는데, 우리 동네는 그대로다"라는 반응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특히 중소기업 종사자와 자영업자들은 물가 상승과 인건비 부담으로 더 큰 경제적 압박을 느끼고 있는 상황입니다. 경남의 또 다른 특징은 고령화입니다. 청년층이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로 떠나면서 남아 있는 인구는 고령층이 대부분이죠. 소비력 약화는 결국 지역 내수 침체로 이어지고, 악순환이 반복되는 구조입니다.

🚅충청: 세종 덕분에 다 잘 사는 줄 알았죠?

충청도는 지리적으로 서울과 지방의 중심에 있어 물류와 교통의 요충지로 꼽힙니다. 특히 세종시가 들어서면서 인근 지역까지 행정 중심지의 수혜를 입게 되었고, 대전·청주 등은 첨단 산업과 교육, 의료 인프라의 집약지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 덕분에 충청권의 경제 체감도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편입니다. 대전은 공공기관과 연구기관이 밀집해 있어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며, 청주는 오송생명과학단지와 같은 바이오산업이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세종시는 여전히 개발 중인 도시지만, 공무원 중심의 인구 구성과 새로운 주거단지 형성으로 상권도 점차 살아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외곽 농촌 지역으로 갈수록 체감 경제는 다릅니다. 고령화와 일자리 부족, 인구 유출은 충청권도 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즉, 대도시 중심으로는 경제 활력이 있지만, 그 외 지역은 여전히 소외되어 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충청 지역은 "중심의 온기"와 "변두리의 한기"가 공존하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라: 농업 말고 새로운 먹거리는 뭐가 있을까?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는 농업 중심의 지역으로, 공공기관 이전이나 지역 균형발전 정책에 큰 영향을 받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북 혁신도시, 광주 첨단산업단지 등 국가 주도의 프로젝트를 통해 발전을 꾀하고 있지만, 주민들이 체감하는 경제 개선 정도는 여전히 낮은 편입니다. 전북은 제조업 기반이 약하고, 광주 역시 자동차 산업 의존도가 높아 산업 다변화가 쉽지 않습니다. 특히 청년층은 여전히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추세이고, 남아 있는 이들은 “지역에선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이런 상황은 자영업자의 생존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고객 자체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유지 비용과 임대료는 점점 오르기만 하니 말이죠. 하지만 희망도 있습니다. 최근 농촌 중심의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 광주 AI 산업 육성, 전북 탄소소재 산업 특화 등으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변화가 아직 주민들에게는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결국 전라 지역의 경제 체감도는 "미래에 대한 기대"와 "현재의 고단함"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는 모습입니다.

경남, 충청, 전라는 각기 다른 산업 기반과 발전 방향을 가진 지역들입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통계와 체감의 괴리’입니다. 정부가 발표하는 수치는 나아지고 있어도, 실제로 삶을 살아가는 주민들은 이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단순한 수치 상승이 아닌, ‘삶의 질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정책이 접근해야 할 시점입니다. 각 지역 주민의 목소리를 듣고,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글

2030세대의 경제 현실, 생존을 고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