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막막할 때, 실업급여는 큰 힘이 됩니다.
하지만 정확히 알아야 손해 없이 받을 수 있어요.
이 글 하나로 수급기간, 계산방법, 계산기 사용법, 부정수급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실업급여 수급기간 총정리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기간은 퇴직 당시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퇴직 당시 나이 | 고용보험 가입기간 | 수급 가능 일수 |
---|---|---|
49세 이하 | 1년 이상 ~ 3년 미만 | 120일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1년 이상 ~ 3년 미만 | 180일 |
49세 이하 | 10년 이상 | 180일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10년 이상 | 270일 |
👉 가입기간이 길고, 나이가 많을수록 더 오래 받을 수 있어요!
| 실업급여 계산방법 쉽게 이해하기
실업급여는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를 지급받습니다.
다만 상한액과 하한액이 존재합니다.
항목 | 내용 |
---|---|
평균임금 | 퇴직 전 3개월 총급여액 ÷ 총 근무일수 |
기본 지급액 | 평균임금 × 60% |
하한액 | 최저임금의 80% (2025년 기준 약 7만원/일) |
상한액 | 1일 최대 77,000원 (2025년 기준) |
✅ 평균임금이 아무리 높아도 1일 77,000원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 평균임금이 낮더라도 최저 수준(하한액)은 보장됩니다.
| 실업급여 계산기 활용법
복잡한 계산이 어렵다면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 실업급여 계산기를 활용하세요!
- 1.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 2. 상단 메뉴에서 '실업급여 모의계산' 클릭
- 3. 퇴직일, 월급여, 나이 입력
- 4. 예상 지급액과 수급 가능 기간 확인
🔔 참고: 모의계산 결과는 예상치일 뿐, 최종 지급액은 신청과 심사 후 확정됩니다.
| 실업급여 부정수급 주의사항
실업급여는 '실업 상태'를 전제로 지원되기 때문에
허위 보고나 미신고가 적발되면 큰 불이익을 받습니다.
부정수급 주요 사례
- 취업 후 신고하지 않고 수급
- 자영업 시작 후 신고 누락
- 구직활동 허위 제출
위반유형 | 처벌내용 |
---|---|
일반 부정수급 | 전액 환수 + 2~5배 추가징수 |
상습 부정수급 | 형사고발 + 수급자격 제한 |
✅ \"몰랐어요\"라고 해도 처벌이 면제되지 않습니다.
✅ 정직한 수급이 기본입니다!
실업급여, 제대로 알고 꼼꼼히 준비하면 재취업까지 든든한 버팀목이 됩니다. 지금 바로 나의 권리를 확인하세요!
| 함께보면 좋은 글
✨2025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절차 , 신청방법 5분안에 보기✨
목차1. 실업급여란 무엇인가요?2. 실업급여 수급자격 조건3. 실업급여 수급 절차 한눈에 보기4. 실업인정이란? (구직활동 기준)5. 고용촉진수당과 조기재취업수당6. 이직확인서, 꼭 확인해야 할 점
ssenai25.com
'가계에 보탬이 되는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계산부터 환급까지! 홈택스로 쉽고 빠르게 (0) | 2025.04.30 |
---|---|
2025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절세방법 총정리(feat.신고방법, 세율, 신고기준) (1) | 2025.04.30 |
✨2025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절차 , 신청방법 5분안에 보기✨ (2) | 2025.04.29 |
국민연금 가입 안 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5.04.29 |
국민연금 지역가입자라면 꼭 알아야 할 것들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