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계에 보탬이 되는 경제이야기

대출금리는 왜 안내려? 예대금리차 핵심정리

by 하루치행복 2025. 4. 30.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출금리는 여전히 높고 예금금리는 낮아

예대금리차가 계속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예대금리차가 커지는 진짜 이유와 은행의 속사정을 해부합니다.

가계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도 함께 분석해드립니다.

📊 예대금리차, 지금 얼마나 벌어졌나?

2025년 3월 기준, 은행권

예대금리차는 무려 2.12%p

까지 벌어졌습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0.3%p 이상 높아진 수치

로,

고객이 예금할 땐 적게 주고, 대출할 땐 더 많이 받는 구조

가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A은행: 예금금리 2.8% / 주택담보대출 금리 5.2%
  • B은행: 예금금리 3.1% / 신용대출 금리 6.0%

대출금리 왜 안내려? 예대금리차 핵심정리

🏦 기준금리는 멈췄는데 왜 대출금리는 안내려가나?

  • 코픽스 상승 – 자금조달비용지수(COFIX)가 오르며 대출금리도 따라 상승
  • 은행 수익 확보 필요 – 금융시장 불안정에 대비해 마진 확보 전략 강화
  • 연체율 리스크 반영 – 대출 증가로 인해 은행은 리스크 비용을 금리에 포함

💰 은행은 왜 예금금리는 낮추고 대출금리는 유지할까?

은행 입장에서

예금은 비용, 대출은 수익

입니다. 예금금리를 낮추고 대출금리는 유지하면 

마진(예대금리차)이 커지며 수익이 증가 

합니다.

  • 가계대출 수요 회복 – 집값 반등 기대, 주담대 수요 증가
  • 정책금융 쏠림 회피 – 은행은 수익성 중심 전략 고수

🧭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대출자 –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 전환 고려, 중도상환 수수료 면제시 갈아타기
  • 예금자 – 인터넷은행, 저축은행 4% 특판상품 적극 활용
  • 조건금리 – 급여이체 등 우대조건 충족 시 0.5%p 이상 차이 가능

🧾 요약 정리표 & 한눈에 보는 시각 자료

구분 2024년 2025년 변화율
예금 평균금리 3.45% 2.98% -0.47%p
대출 평균금리 5.25% 5.10% -0.15%p
예대금리차 1.80%p 2.12%p +0.32%p